∙ 고려대학교 심리학 학사
∙ 고려대학교 심리학 석사(임상 • 상담심리학)
∙ 고려대학교 심리학 박사(임상 • 상담심리학)
∙ 고려대학교 심리학 박사후 과정(문화와 상담)
∙ 단기해결중심치료 전문가 자격증
∙ 부모교육 교류분석(TA) 지도자 자격증
∙ 국가자격증(여성가족부) 청소년상담사 1급
∙ (전) 고려대학교 학생상담센터 전문상담인턴
∙ (전) 고려대학교 행동과학연구소 책임연구원
∙ (전) 한양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학과 학과장/대학원 전공주임
∙ (전) 한양사이버대학교 대학원 부원장
∙ (전) 한양사이버대학교 학습지원센터장
∙ (전) 한양사이버대학교 대학원 대학원장
∙ (전) University of Missouri-Kansas City, Visiting Scholar at Dept.of Psychology and Lab.
for Affective Neuroscience & Neuroeconomics
∙ (전) 한양사이버대학교 카운셀링서비스 센터장 및 심리상담실장
∙ (현) 한양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학과 학과장
∙ (현) 한양사이버대학교 상담및임상심리 정교수
∙ 담당교과목(학부): 성격심리학, 상담의이론과실제, 발달심리학, 대인관계심리학(교양)
∙ 담당교과목(대학원): 고급성격심리학, 분석심리학세미나
황성훈 교수
연락처
02-2290-0362
이메일
thinkgrey@hanmail.net
경력 및 학력사항
∙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학사
∙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석사(임상심리전공)
∙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박사(임상 및 상담심리전공)
∙ 임상심리전문가(한국심리학회산하 한국임상심리학회)
∙ 정신보건임상심리사 1급(보건복지부)
∙ (전) 서울중앙병원(현 아산병원) 정신과 임상심리 레지던트
∙ (전) 연세대학교 신촌 세브란스 병원 정신과 임상심리 펠로우
∙ (전) 의료법인 계요병원 임상심리과장
∙ (전) 한양사이버대학교 심리상담센터장, 학과장
∙ (전) 한양사이버대학교 상담및임상심리 대학원 전공주임교수
∙ (현) 한양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전임교수
∙ (현) 한양사이버대학교 상담및임상심리전공 전임교수
∙ 담당교과목(학부): 이상심리학, 임상심리학, 상담심리학의기초, 현대인의정신건강(교양)
∙ 담당교과목(대학원): 인지행동치료세미나, 심리평가
유성진 교수
연락처
02-2290-0365
이메일
1110005@hycu.ac.kr
경력 및 학력사항
∙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학사
∙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석사(임상/상담심리학 전공)
∙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박사(임상/상담심리학 전공)
∙ 임상심리전문가(한국임상심리학회)
∙ 정신보건임상심리사1급(보건복지부)
∙ 인지행동치료전문가(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)
∙ (전) 서울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/소아정신과 임상심리 레지던트
∙ (전) 한국임상심리학회 총무이사, 수련이사, 자격관리이사, 학술부회장
∙ (전) 한양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학과장, 대학원 주임교수, 심리상담센터장
∙ (전) University of Wisconsin-Milwaukee, Visiting Scholar
∙ (현) 한양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전임교수
∙ (현) 한양사이버대학교 상담및임상심리 전임교수
∙ 담당교과목(학부): 심리검사와평가1, 현대심리치료, 정서장애의이해와치료, 심리학의이해(교양)
∙ 담당교과목(대학원): 정신병리학, 상담의과정과기법
하승수 교수
연락처
02-2290-0363
이메일
1120011@hycu.ac.kr
경력 및 학력사항
∙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학사
∙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석사(임상/상담심리학 전공)
∙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석사(Clinical Psychology)
∙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박사(임상/상담심리학 전공)
∙ 임상심리전문가(한국심리학회산하 한국임상심리학회)
∙ (전) 서울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/소아정신과 임상심리 레지던트
∙ (전) 서울대학교 대학생활문화원 전문상담원
∙ (전) 서울디지털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전임교수
∙ (전) 한양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학과장, 대학원 주임교수, 심리상담센터장
∙ (현) 한양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전임교수
∙ (현) 한양사이버대학교 상담및임상심리 전임교수
∙ 담당교과목(학부): 인지행동치료, 긍정심리치료, 심리검사와평가2, 성심리학(교양)
∙ 담당교과목(대학원): 심리평가사례연구및실습, 긍정심리학
윤성민 교수
연락처
02-2290-0381
이메일
ysmpsy@hycu.ac.kr
경력 및 학력사항
∙ 이화여자대학교 교육심리학과 학사(교육심리학)
∙ 미국, Trinity International University 석사(상담심리학전공)
∙ 아주대학교 심리학과 박사(상담심리학전공)
∙ 상담심리전문가(한국심리학회산하 한국상담심리학회)
∙ (전) 미국, Veterans Hospital-위기상담원
∙ (전) 미국, Safe Place(가정폭력전문 상담 및 보호센터) 전문인턴상담원
∙ (전) New Life 카운셀링센터-전문심리상담원
∙ (전) 한국외국어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-전문인턴상담원
∙ (전) 아주대학교 부설, 아주심리상담센터-전문심리상담원
∙ (전) 한국발명진흥회-영재상담총괄책임 전문위원
∙ (전) 아주대학교, 단국대학교 및 대학원 강사
∙ (현) 서울가정법원 상담위원
∙ (현) 한양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전임교수
∙ (현) 한양사이버대학교 상담및임상심리 전임교수
∙ 담당교과목(학부): 상담의 과정과 기법, 가족상담, 부부및커플치료, 대상관계이론과치료
∙ 담당교과목(대학원): 상담및심리치료, 가족치료
전공분야 및 실적
[전공분야] :
상담심리학_긍정심리학, 가족, 부부
[관심분야] :
긍정심리학 주제(행복, 감사, 용서 등), 가족, 부부, 청소년, 부모_자녀관계(아버지역할 등), 생애주기 이슈(2030세대 마음건강, 중년, 노화불안 등), 대상관계이론 및 치료, 수용전념치료, 정서중심_부부치료
[저역서]
1. (저서) 윤성민 (2019). 행복한 아버지 행복한 10대. 서울: 북랩.
[논문목록]
1. 윤성민, 신희천 (2007). 내현적 자기애가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에 미치는 영향: 경험회피의 매개효과. 한국심리학회지: 상담 및 심리치료, 19(4), 967-982.
2. 윤성민, 신희천 (2010). 한국판 긍정심리치료척도의 타당화 연구. 한국심리학회지: 상담 및 심리치료, 22(3), 707-732.
3. 행복증진 긍정심리개입활동들의 효과: 개인-초점적 활동과 관계-초점적 활동의 비교. 라는 제목의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습니다(2011. 8. 19. 아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).
4. 윤성민, 신희천 (2012). 한국 수도권 중년여성들의 성격적 강점과 행복과의 관계. 한국심리학회지: 상담 및 심리치료, 24(1), 27-49.
5. 윤성민, 신희천 (2012). 행복증진 긍정심리활동들의 효과 비교 : 개인-초점적 활동과 관계-초점적 활동. 한국심리학회지: 상담 및 심리치료, 24(1) 121-148.
6. 윤성민 (2012). 성인애착은 용서가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가?. 한국심리학회지: 일반, 31(3) 917-939.
7. 윤성민, 신희천(2013). 행복증진을 위한 개입 활동들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성격 5요인의 역할탐색. 한국심리학회지: 상담 및 심리치료, 25(2) 275-308.
8. 윤성민 (2013). 감사성향과 안녕감, 우울의 관계: 자아-적응유연성의 매개효과. 한국심리학회지: 일반, 32(4) 1003-1021.
9. 윤성민 (2014). 성인기 자녀가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심리적 디스트레스의 관계: 자아분화와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의 매개효과. 한국가족복지학, 19(4) 757-779.
10. 윤성민 (2016). 자아분화수준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: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의 매개역할. 상담학연구, 17(1) 107-123.
11. 윤성민 (2016). 청소년기 자녀를 둔 아버지 대상 웹기반 아버지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질적 연구. 한국가족복지학, 21(4) 653-684. 이 논문은 한국연구재단 지원과제의 연구결과물입니다. [2015년 신진연구자지원사업(인문사회)]
12. 윤성민 (2017). 사춘기 및 청소년기 자녀를 둔 아버지 대상 심리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현황 및 요구도 분석 연구. 청소년학연구, 24(1) 79-105. 이 논문은 한국연구재단 지원과제의 연구결과물입니다. [2015년 신진연구자지원사업(인문사회)]
13. 윤성민 (2017). 자아분화가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: 가족갈등대처행동,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의 매개역할. 한국심리학회지: 상담 및 심리치료, 29(4) 1115-1141.
14. 윤성민 (2019). 아버지역할 증진을 위한 웹 기반 심리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-청소년기 자녀의 아버지를 중심으로- 청소년학연구, 제26권 제10호(2019. 10). 21―51. 이 논문은 한국연구재단 지원과제의 연구결과물입니다. [2015년 신진연구자지원사업(인문사회)]
15. 윤성민 (2019). 성인애착이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: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기본 심리적 욕구만족의 이중매개효과. 한국심리학회지 : 상담 및 심리치료,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. 2019, Vol. 31, No. 4, 1139-1164
16. 윤성민 (2019). 청소년기 자녀를 둔 아버지 대상 웹기반 심리교육프로그램 참여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. Korea Journal of Family Welfare. 한국가족복지학. Vol. 24, No.4 : 467-499. 이 논문은 한국연구재단 지원과제의 연구결과물입니다. [2015년 신진연구자지원사업(인문사회)]
17. 장수민, 윤성민 (2020). 조기발현(초로기) 치매 환자를 돌보는 배우자의 심리적 어려움과 대처방식에 관한 개념도 연구. 한국심리학회지: 건강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. 2020. Vol. 25, No. 6, 1115 – 1142.
18. 윤성민 (2021). 청소년기 자녀를 둔 아버지 대상 아버지역할 증진 웹기반 심리교육프로그램의 부부 공동수강 여부의 효과 비교 –증거기반실무를 중심으로-. 청소년학연구, 제28권 제3호(2021. 03.). 281―307. 과검증 -청소년기 자녀의 아버지를 중심으로- 청소년학연구, 제26권 제10호(2019. 10). 21―51. 이 논문은 한국연구재단 지원과제의 연구결과물입니다. [2018년 중견연구자지원사업]
19. 윤성민 (2021). 위계적선형모형(HLM)을 적용한 아버지역할 증진을 위한 웹기반 아버지교육프로그램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특성 변인 탐색-증진을 위한 증거기반실무를 중심으로- Korea Journal of Family Welfare. 한국가족복지학. Vol. 26, No.1 : 203-227 March 2021. 이 논문은 한국연구재단 지원과제의 연구결과물입니다. [2018년 중견연구자지원사업]
20. 장희란, 윤성민 (2022). 직장인의 내현적 자기애와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분노반추의 순차매개효과. 인문사회21,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(HSS21). 2022. Vol. 13, No. 1, 189 – 202.
21. 황미송, 윤성민 (2022). 어머니의 자기 지향 완벽주의와 양육불안의 관계에서그릿(Grit)의 매개효과. 인문사회21,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(HSS21). 2022. Vol. 13, No. 1, 505 – 516.
22. 이성애, 윤성민 (2022). 성인애착이 분노억제에 미치는 영향: 내면화된 수치심을 통한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. 한국심리학회지: 건강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. 2022. Vol. 27, No. 3, 471 – 493.
23. 전소현, 윤성민 (2022).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폭식행동의 관계에서 경험수용의 매개효과. 인문사회21,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(HSS21). 2022. Vol. 13, No. 6, 321 – 336.
24. 정재우, 윤성민 (2023). 첫 출산 후 복직한 여성 사무종사자의 일·가정 양립 경험. 인문사회21,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(HSS21). 2023. Vol. 14, No. 1, 1859 – 1874.
25. 이정옥, 윤성민 (2023). 성인의 정서지능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그릿과 진로준비행동의 이중매개효과. 인문사회21,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(HSS21). 2023. Vol. 14, No. 2, 1043 – 1056.
26. 유애리, 윤성민 (2023). 영유아기 발달장애 아동의 수면 문제가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: 양육 스트레스 매개효과. 발달장애연구,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n Developmental Disabilities (KADD). 2023. Vol. 27, No. 2, 161 – 179.
27. 김정현, 윤성민 (2024). 아버지의 자아존중감이 자녀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: 아버지-자녀 의사소통 및 자녀의 자아존중감의 순차 매개효과.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.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-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. 25, No. 1 pp. 184-192, 2024.
28. 이현정, 윤성민 (2024). 아동기 학대 경험이 신체화에 미치는 영향: 정서인식명확성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.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. Journal of Learner-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. 24, No. 4, 2024, pp. 57-71.
29. 김윤화, 윤성민 (2024).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와 폭식행동의 관계에서의 신체불만족 및 신체자비의 순차 매개효과.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. Journal of Korea Academia-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(JKAIS). 2024, vol.25, no.5, pp. 373-379.
30. 김태현, 윤성민 (2024). 중년 여성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만성 통증에 미치는 영향: 정서표현에 대한 양가성과 우울의 이중매개 효과.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. Journal of Learner-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. 24, No. 11, 2024, pp. 327-336.
31. 나혜성, 윤성민 (2024). 중년 남성 직장인의 경력정체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: 자기효능감과 삶의 의미의 이중매개 효과.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. Journal of Learner-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. 24, No. 12, 2024, pp. 205-217.
32. 손정환, 윤성민 (2024). 신중년의 노화불안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- 사회활동과 디지털활용능력의 순차매개효과를 중심으로.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. Journal of Korea Academia-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(JKAIS). 2025, vol.26, no.2, pp. 41-50.
33. 손정환, 윤성민 (2024). 신중년의 노화불안과 우울과의 관계에서 사회활동과 디지털사용능력의 순차 매개효과.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. Journal of Learner-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. 25, No. 4, 2025, pp. 135-144.
박원주 교수
연락처
02-2290-0364
이메일
parkwj@hycu.ac.kr
경력 및 학력사항
∙ 연세대학교 생물학과 학사
∙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석사 (상담심리)
∙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박사 (상담심리)
∙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박사 (철학박사)
∙ 상담심리사 1급 (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상담심리학회)
∙ (전) 한국교원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전임상담원
∙ (전) 서울정신과 부설 상담센터 심리상담사
∙ (전) 국립 한밭대학교 교양학부 심리학 강의전담교수 및 상담교수
∙ (전) Georgia State University Counseling and Psychological
Services department 방문 연구원
∙ (전) 한양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학과 학과장
∙ (현) 한양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전임교수
∙ (현) 한양사이버대학교 상담및임상심리 전공주임 교수
∙ 담당교과목(학부): 상담사례연구, 진로및직업상담, 집단상담, 학교상담
∙ 담당교과목(대학원): 집단상담및치료, 정신역동치료세미나
신경민 교수
연락처
02-2290-0384
이메일
kmshin@hycu.ac.kr
경력 및 학력사항
∙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학사
∙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석사 (임상/상담심리학 전공)
∙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박사 (이학 전공)
∙ 임상심리전문가 (한국임상심리학회)
∙ 정신보건임상심리사1급 (보건복지부)
∙ (전)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임상심리레지던트
∙ (전) 아주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임상심리레지던트
∙ (전)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임상강사
∙ (전) 경기남부해바라기센터(거점) 심리지원팀장
∙ (전) 한양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학과장, 대학원 주임교수
∙ (전) University of Texas at Dallas, Visiting Scholar
∙ (현) 한양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전임교수
∙ (현) 한양사이버대학교 상담및임상심리 전임교수
∙ 담당과목(학부): 아동발달과병리, 동기및정서심리학, 아동심리치료, 인지신경심리학
∙ 담당과목(대학원): 발달정신병리학, 아동심리치료세미나
이자영 교수
연락처
02-2290-0341
이메일
1170003@hycu.ac.kr
경력 및 학력사항
∙ 한양대학교 교육학과 학사
∙ 한양대학교 교육학과 석사(상담심리전공)
∙ 고려대학교 교육학과 박사 (상담심리전공)
∙ 상담심리전문가(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상담심리학회)
∙ (전) 한양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 임상수련
∙ (전)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선임상담원
∙ (전) 고려대학교 두뇌동기연구소 연구교수
∙ (전) 서울사이버대학교 군경상담학과 전임교수
∙ (전) 한국상담심리학회 자격검정위원장
∙ (전) 한양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학과 학과장, 대학원 주임교수
∙ (현)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컨설팅 위원
∙ (현) 소년 성폭력사범 심리치료 프로그램 개발 자문위원
∙ (현) 대한군상담학회 편집위원장
∙ (현) 한양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전임교수
∙ (현) 한양사이버대학교 상담및임상심리 전임교수
담당교과목(학부) : 위기관리상담, 학교폭력상담이론과 실제, 중독의 이해와 상담
담당교과목(대학원) : 청소년상담, 상담사례연구
우성범 교수
연락처
02-2290-0366
이메일
1230001@hycu.ac.kr
경력 및 학력사항
∙ 서강대학교 경제학 심리학 학사
∙ 고려대학교 심리학 석사(임상 및 상담심리학)
∙ 고려대학교 심리학 박사(임상 및 상담심리학)
∙ 한국상담심리학회 상담심리사 1급
∙ (전)고려대학교 학생상담센터 상담원
∙ (전)숙명여자대학교 초빙대우교수
∙ (전)가천대학교 연구교수
∙ (전)인간성장연구소 수석연구원
∙ (현)한양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전임교수
∙ (현) 한양사이버대학교 상담및임상심리 전임교수
담당교과목(학부): 건강심리학, 심리통계, 정서중심치료
담당교과목(대학원): 연구방법이론, 다변량분석