주메뉴 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사이트정보 바로가기

한양사이버대학원 로고

일반대학원

사랑을 실천하는 이 시대의 진정한 리더가 되십시오.

교수진소개

    • 김윤주 교수 사진

      김윤주 교수

      연락처
      02-2290-0361
      이메일
      lovejina@hycu.ac.kr
    • 경력 및 학력사항

      • ∙ 고려대학교 심리학 학사 ∙ 고려대학교 심리학 석사(임상 • 상담심리학) ∙ 고려대학교 심리학 박사(임상 • 상담심리학) ∙ 고려대학교 심리학 박사후 과정(문화와 상담) ∙ 단기해결중심치료 전문가 자격증 ∙ 부모교육 교류분석(TA) 지도자 자격증 ∙ 국가자격증(여성가족부) 청소년상담사 1급 ∙ (전) 고려대학교 학생상담센터 전문상담인턴 ∙ (전) 고려대학교 행동과학연구소 책임연구원 ∙ (전) 한양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학과 학과장/대학원 전공주임 ∙ (전) 한양사이버대학교 대학원 부원장 ∙ (전) 한양사이버대학교 학습지원센터장 ∙ (전) 한양사이버대학교 대학원 대학원장 ∙ (전) University of Missouri-Kansas City, Visiting Scholar at Dept.of Psychology and Lab. for Affective Neuroscience & Neuroeconomics ∙ (전) 한양사이버대학교 카운셀링서비스 센터장 및 심리상담실장 ∙ (현) 한양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학과 학과장 ∙ (현) 한양사이버대학교 상담및임상심리 정교수 ∙ 담당교과목(학부): 성격심리학, 상담의이론과실제, 발달심리학, 대인관계심리학(교양) ∙ 담당교과목(대학원): 고급성격심리학, 분석심리학세미나

      전공분야 및 실적

      • ■ 관심분야 ∙ C. G. Jung의 분석심리학 ∙ S. C. Hayes의 수용전념치료(ACT) ∙ 마음챙김명상 관련분야 / 심리학과 영성 ∙ 동물매개치료 ∙ 현상학적 연구 등 질적 연구분야 ■ 저역서 ∙ Cormier, S. 외(2007). 심리상담의 전략과 기법 : 상담연습을 중심으로 [Counseling strategies and interventions. 6th ed.] (김윤주 등 공역). 서울: 시그마프레스. ∙ Hackney, H. 외(2004). 심리상담의 과정과 기법 : 효과적인 상담자가 되기 위한 안내서 [The professional counselor : a process guide to helping. 4th ed.] (김윤주 등 공역). 서울:시그마프레스. ■ 논문 ∙ 김두경, 김윤주, 송지희(2020). 외상경험아동의 동물매개치료효과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. 인문사회21, 11(4), 859-874. ∙ 현상란, 김윤주(2021). 마음챙김이 중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: 정서인식명확성과 심리적 수용의 다중매개효과. 인문사회21, 12(3), 1799-1814. ∙ 송지희, 김윤주(2022). 팬데믹 상황에서 직장인 재택근무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. 인문사회21, 13(5), 261-276. ∙ 김명화, 김윤주, 송지희(2023). 사이버 대학교의 멘토링 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. 학습자중심 교과교육연구, 23(14), 213-235. ∙ 황영주, 김윤주(2023). 신경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불안정 성인애착과 심리적 안녕감의관계에서 자녀애착에 의해 조절된 장애수용의 매개효과, 상담심리교육복지, 10(6), 197-219.
    • 황성훈 교수 사진

      황성훈 교수

      연락처
      02-2290-0362
      이메일
      thinkgrey@hanmail.net
    • 경력 및 학력사항

      • ∙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학사 ∙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석사(임상심리전공) ∙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박사(임상 및 상담심리전공) ∙ 임상심리전문가(한국심리학회산하 한국임상심리학회) ∙ 정신보건임상심리사 1급(보건복지부) ∙ (전) 서울중앙병원(현 아산병원) 정신과 임상심리 레지던트 ∙ (전) 연세대학교 신촌 세브란스 병원 정신과 임상심리 펠로우 ∙ (전) 의료법인 계요병원 임상심리과장 ∙ (전) 한양사이버대학교 심리상담센터장, 학과장 ∙ (전) 한양사이버대학교 상담및임상심리 대학원 전공주임교수 ∙ (현) 한양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전임교수 ∙ (현) 한양사이버대학교 상담및임상심리전공 전임교수 ∙ 담당교과목(학부): 이상심리학, 임상심리학, 상담심리학의기초, 현대인의정신건강(교양) ∙ 담당교과목(대학원): 인지행동치료세미나, 심리평가

      전공분야 및 실적

      • ■ 관심분야 ∙ 양극성 장애, 경계선 성격 장애, 불안 장애, 신체증상 장애에서의 정서적 불안정성과 그에 대한 조절 ∙ 긍정 정서의 조절 어려움이 가져오는 부적응과 병리 ∙ 반추와 걱정과 같은 반복적 부정 사고가 정서 장애에 미치는 영향 ∙ 탈중심화가 반복적 부정사고와 긍부정 정서 조절 장애에 미치는 효과 ∙ 탈중심화를 기반으로한 보급 가능성 높은 단기 개입의 개발 ■ 논문 ∙ 김자경, 황성훈 (2024). 부정생활사건, 감정표현불능증 및 신체화 증상의 관계에서 정서억제와 자기연민의 차별적 매개 효과. 한국심리학회지: 건강, 29(4), 623-639. ∙ 황성훈, 박경진, 이정미(2024). 사고통제질문지(TCQ)의 확장 가능성에 대한 탐색. 미래사회, 15(1), 90-111. ∙ 김혜진, 황성훈(2023). 생태학적 순간 평가로 본 경계선 성격 성향이 높은 사람들의 정서적 불안정성: 부정 및 긍정 정서 중심으로. 정서·행동장애연구, 39(4), 171. ∙ 허주연, 황성훈 (2023). 아동기 초기 외상과 경계선 성격 성향의 관계에서 정서 반응성과 정서 조절 곤란의 다중매개효과. 재활심리연구, 30(3), 49-71. ∙ 허주연, 황성훈 (2023). 한국판 Perth 정서 반응성 척도의 타당화. 한국심리학회지: 임상심리 연구와 실제, 9(3), 425-453. ∙ 정영주, 황성훈 (2022). 긍정 생활사건과 양극성 증상의 관계에서 긍정 반추와 향유의 비교 : 긍정 정서의 활성화 수준을 중심으로. 인지행동치료, 22(1), 133-157. ∙ 정영주, 황성훈 (2022). 긍정 정서에 대한 반응이 양극성 증상에 미치는 영향: 긍정 반추 대 향유의 차별적 효과를 중심으로. 한국심리학회지: 건강, 27(2), 291-312 ∙ 이윤숙, 황성훈 (2021). 반복적 부정사고의 가능한 발생 기원과 완화 요인. 한국심리학회지: 건강, 26(1), 181-203. ∙ 이윤숙, 황성훈 (2020). 반복적 부정사고의 정서적 선행요인과 그 완화요인. 인지행동치료, 20(2), 161-181. ∙ 남기석, 황성훈 (2020). 내현적 자기애와 사회 불안의 관계에서 거절 민감성의 매개효과와 마음챙김의 조절된 매개효과. 한국심리학회지: 임상심리 연구와 실제, 6(3), 207-227. ∙ 윤소영, 황성훈 (2020). 정서 억제가 과잉사고를 가져오는가? 생활 사건과 우울 및 불안의 관계에서 정서 억제와 반복적 부정사고의 순차매개효과. 인문사회 21, 11(4), 545. ∙ 강오선, 황성훈 (2020). 생활사건과 알코올 사용의 관계에서 취약성 요인으로서의 부정정서 및 충동성의 작용과 완화 요인으로서의 마음챙김의 효과. 인간이해. 41(1), 117-137. ∙ 장윤정, 황성훈 (2020). 긍정정서 반응척도 확장판의 타당화. 한국심리학회지: 임상심리 연구와 실제, 6(1), 1-29. ∙ 김유진, 황성훈 (2020). 반복적 부정 사고에 초점을 맞춘 단기 인지치료프로그램의 우울 및 불안 완화 효과 및 그 기제: 상위인지치료와 인지행동치료의 비교. 인지행동치료, 20(2), 201-226. ∙ 장윤정, 황성훈 (2019). 행동활성화체계와 양극성 장애 경향의 관계에서 긍정반추와 찬물끼얹기의 순차적 매개효과. 한국심리학회지: 임상심리 연구와 실제, 5(4), 339-362. ∙ 김선엽, 황성훈 (2019). 아동의 분노와 공격성의 관계에서 이분법적 사고의 매개효과. 인문사회 21, 10(5), 537. ∙ 김선엽, 황성훈 (2019). 아동용 이분법적 사고 지표의 개발 및 타당화. 아동학회지. 40(2), 1-12. ∙ 황성훈 (2018). 공황 장애의 인지적 기제로서 임박형 이분법 사고의 작용. 인지행동치료, 18(3), 267-284.
    • 유성진 교수 사진

      유성진 교수

      연락처
      02-2290-0365
      이메일
      1110005@hycu.ac.kr
    • 경력 및 학력사항

      • ∙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학사 ∙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석사(임상/상담심리학 전공) ∙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박사(임상/상담심리학 전공) ∙ 임상심리전문가(한국임상심리학회) ∙ 정신보건임상심리사1급(보건복지부) ∙ 인지행동치료전문가(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) ∙ (전) 서울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/소아정신과 임상심리 레지던트 ∙ (전) 한국임상심리학회 총무이사, 수련이사, 자격관리이사, 학술부회장 ∙ (전) 한양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학과장, 대학원 주임교수, 심리상담센터장 ∙ (전) University of Wisconsin-Milwaukee, Visiting Scholar ∙ (현) 한양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전임교수 ∙ (현) 한양사이버대학교 상담및임상심리 전임교수 ∙ 담당교과목(학부): 심리검사와평가1, 현대심리치료, 정서장애의이해와치료, 심리학의이해(교양) ∙ 담당교과목(대학원): 정신병리학, 상담의과정과기법

      전공분야 및 실적

      • ■ 관심분야 ∙ 불안장애, 강박장애, 외상장애, 성격장애의 심리평가 및 심리치료 ■ 저역서 ∙ MMPI 검사: 성격 및 정신병리 평가(2023) ∙ 정신건강 임상가를 위한 핸드북: 면담 수행 및 보고서 작성 지침(2023) ∙ 임상사례로 보는 심리 진단 및 치료(2022) ∙ 긍정임상심리학 핸드북(2022) ∙ MMPI-2 해설서(2020) ∙ 변증법적 행동치료(2017) ∙ 저장장애: 물건에 대한 강박적 집착(2016) ∙ 합리적 정서행동치료(2015) ∙ 외상의 치유 인생의 향유(2014) ∙ 성격장애의 인지치료(2008) ∙ 분노의 갑옷을 벗어라(2008) ∙ MMPI-2: 성격 및 정신병리 평가(2007) ∙ 심리도식치료(2005)
    • 하승수 교수 사진

      하승수 교수

      연락처
      02-2290-0363
      이메일
      1120011@hycu.ac.kr
    • 경력 및 학력사항

      • ∙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학사 ∙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석사(임상/상담심리학 전공) ∙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석사(Clinical Psychology) ∙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박사(임상/상담심리학 전공) ∙ 임상심리전문가(한국심리학회산하 한국임상심리학회) ∙ (전) 서울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/소아정신과 임상심리 레지던트 ∙ (전) 서울대학교 대학생활문화원 전문상담원 ∙ (전) 서울디지털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전임교수 ∙ (전) 한양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학과장, 대학원 주임교수, 심리상담센터장 ∙ (현) 한양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전임교수 ∙ (현) 한양사이버대학교 상담및임상심리 전임교수 ∙ 담당교과목(학부): 인지행동치료, 긍정심리치료, 심리검사와평가2, 성심리학(교양) ∙ 담당교과목(대학원): 심리평가사례연구및실습, 긍정심리학

      전공분야 및 실적

      • ■ 관심분야 ∙ 긍정심리학, 인지행동치료, 심리평가 등 ■ 저역서 ∙ 유성진, 안도연, 하승수 (2020). MMPI-2 해설서(Psychological Assessment with the MMPI-2/MMPI-2-RF 3rd ed.). 서울: 학지사. ∙ 하승수 (2018). 기능분석치료. 서울: 학지사. ∙ 신민섭, 김은정, 민병배, 박수현, 박중규, 송현주, 신민영, 이혜란, 이훈진, 최진영, 하승수, 현명호, 홍상황, 황순택 (2017). 심리평가핸드북 제6판. 사회평론아카데미. ∙ 하승수 (2017). 행동활성화치료. 서울: 학지사. ∙ 하승수 (2016). 성기능 장애. 서울: 학지사. ■ 논문 ∙ 김혜진, 하승수 (2023). 취약성 자기애와 신체불만족의 관계: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우울의 이중매개효과. 한국심리학회지: 건강, 28(4), 913-930. ∙ 이재건, 하승수 (2023). 내현적 자기애와 우울의 관계에서 관계진솔성을 통한 마음챙김의 조절된 매개효과. 한국심리학회지: 임상심리 연구와 실제, 9(1), 143-159. ∙ 박민희, 하승수 (2021). 성인애착 안정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고독 동기의 이중매개효과. 인문사회21, 12(2), 819-832. ∙ 김애경, 하승수 (2020). 내현적 자기애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: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. 한국심리학회지: 건강, 25(6), 1181-1193. ∙ 임효열, 하승수 (2019). 자기애가 성격적 성숙에 미치는 영향: 분노반추와 자기자비의 역할을 중심으로. 한국심리학회지: 건강, 24(1), 95-116. ■ 학회발표 ∙ 강지현, 하승수 (2024년 8월). 역기능적 신념과 비자살적 자해의 관계에서 고통 감내력이 미치는 영향: 고통감내력 부족과 과잉의 매개효과. 한국심리학회 제78차 연차학술대회 포스터 발표, 경주시, 경상북도. ∙ 박수빈, 하승수 (2021년 4월). 거부민감성과 분노억제의 관계에서 분노반추의 매개효과와 마음챙김의 조절된 매개효과. 한국임상심리학회 봄 학술대회 포스터 발표, 온라인 학술대회. ∙ 박민희, 하승수 (2020년 10월). 불안정 성인애착, 비자기결정적 고독 동기,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: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된 매개 모델. 한국임상심리학회 가을 학술대회 포스터 발표, 온라인 학술대회.
    • 윤성민 교수 사진

      윤성민 교수

      연락처
      02-2290-0381
      이메일
      ysmpsy@hycu.ac.kr
    • 경력 및 학력사항

      • ∙ 이화여자대학교 교육심리학과 학사(교육심리학) ∙ 미국, Trinity International University 석사(상담심리학전공) ∙ 아주대학교 심리학과 박사(상담심리학전공) ∙ 상담심리전문가(한국심리학회산하 한국상담심리학회) ∙ (전) 미국, Veterans Hospital-위기상담원 ∙ (전) 미국, Safe Place(가정폭력전문 상담 및 보호센터) 전문인턴상담원 ∙ (전) New Life 카운셀링센터-전문심리상담원 ∙ (전) 한국외국어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-전문인턴상담원 ∙ (전) 아주대학교 부설, 아주심리상담센터-전문심리상담원 ∙ (전) 한국발명진흥회-영재상담총괄책임 전문위원 ∙ (전) 아주대학교, 단국대학교 및 대학원 강사 ∙ (현) 서울가정법원 상담위원 ∙ (현) 한양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전임교수 ∙ (현) 한양사이버대학교 상담및임상심리 전임교수 ∙ 담당교과목(학부): 상담의 과정과 기법, 가족상담, 부부및커플치료, 대상관계이론과치료 ∙ 담당교과목(대학원): 상담및심리치료, 가족치료

      전공분야 및 실적

      • ■ 관심분야 ∙ 전공분야 : 상담심리학_긍정심리학, 가족, 부부 ∙ 관심분야 : 긍정심리학 주제(행복, 감사, 용서 등), 가족, 부부, 청소년, 부모_자녀관계(아버지역할 등), 생애주기 이슈(2030세대 마음건강, 중년, 노화불안 등), 대상관계이론 및 치료, 수용전념치료, 정서중심_부부치료 ■ 저역서 ∙ 윤성민 (2019). 행복한 아버지 행복한 10대. 서울: 북랩. ■ 논문 ∙ 윤성민, 신희천 (2007). 내현적 자기애가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에 미치는 영향: 경험회피의 매개효과. 한국심리학회지: 상담 및 심리치료, 19(4), 967-982. ∙ 윤성민, 신희천 (2010). 한국판 긍정심리치료척도의 타당화 연구. 한국심리학회지: 상담 및 심리치료, 22(3), 707-732. ∙ 행복증진 긍정심리개입활동들의 효과: 개인-초점적 활동과 관계-초점적 활동의 비교. 라는 제목의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습니다(2011. 8. 19. 아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). ∙ 윤성민, 신희천 (2012). 한국 수도권 중년여성들의 성격적 강점과 행복과의 관계. 한국심리학회지: 상담 및 심리치료, 24(1), 27-49. ∙ 윤성민, 신희천 (2012). 행복증진 긍정심리활동들의 효과 비교 : 개인-초점적 활동과 관계-초점적 활동. 한국심리학회지: 상담 및 심리치료, 24(1) 121-148. ∙ 윤성민 (2012). 성인애착은 용서가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가?. 한국심리학회지: 일반, 31(3) 917-939. ∙ 윤성민, 신희천(2013). 행복증진을 위한 개입 활동들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성격 5요인의 역할탐색. 한국심리학회지: 상담 및 심리치료, 25(2) 275-308. ∙ 윤성민 (2013). 감사성향과 안녕감, 우울의 관계: 자아-적응유연성의 매개효과. 한국심리학회지: 일반, 32(4) 1003-1021. ∙ 윤성민 (2014). 성인기 자녀가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심리적 디스트레스의 관계: 자아분화와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의 매개효과. 한국가족복지학, 19(4) 757-779. ∙ 윤성민 (2016). 자아분화수준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: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의 매개역할. 상담학연구, 17(1) 107-123. ∙ 윤성민 (2016). 청소년기 자녀를 둔 아버지 대상 웹기반 아버지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질적 연구. 한국가족복지학, 21(4) 653-684. 이 논문은 한국연구재단 지원과제의 연구결과물입니다. [2015년 신진연구자지원사업(인문사회)] ∙ 윤성민 (2017). 사춘기 및 청소년기 자녀를 둔 아버지 대상 심리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현황 및 요구도 분석 연구. 청소년학연구, 24(1) 79-105. 이 논문은 한국연구재단 지원과제의 연구결과물입니다. [2015년 신진연구자지원사업(인문사회)] ∙ 윤성민 (2017). 자아분화가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: 가족갈등대처행동,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의 매개역할. 한국심리학회지: 상담 및 심리치료, 29(4) 1115-1141. ∙ 윤성민 (2019). 아버지역할 증진을 위한 웹 기반 심리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-청소년기 자녀의 아버지를 중심으로- 청소년학연구, 제26권 제10호(2019. 10). 21―51. 이 논문은 한국연구재단 지원과제의 연구결과물입니다. [2015년 신진연구자지원사업(인문사회)] ∙ 윤성민 (2019). 성인애착이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: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기본 심리적 욕구만족의 이중매개효과. 한국심리학회지 : 상담 및 심리치료,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. 2019, Vol. 31, No. 4, 1139-1164 ∙ 윤성민 (2019). 청소년기 자녀를 둔 아버지 대상 웹기반 심리교육프로그램 참여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. Korea Journal of Family Welfare. 한국가족복지학. Vol. 24, No.4 : 467-499. 이 논문은 한국연구재단 지원과제의 연구결과물입니다. [2015년 신진연구자지원사업(인문사회)] ∙ 장수민, 윤성민 (2020). 조기발현(초로기) 치매 환자를 돌보는 배우자의 심리적 어려움과 대처방식에 관한 개념도 연구. 한국심리학회지: 건강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. 2020. Vol. 25, No. 6, 1115 – 1142. ∙ 윤성민 (2021). 청소년기 자녀를 둔 아버지 대상 아버지역할 증진 웹기반 심리교육프로그램의 부부 공동수강 여부의 효과 비교 –증거기반실무를 중심으로-. 청소년학연구, 제28권 제3호(2021. 03.). 281―307. 과검증 -청소년기 자녀의 아버지를 중심으로- 청소년학연구, 제26권 제10호(2019. 10). 21―51. 이 논문은 한국연구재단 지원과제의 연구결과물입니다. [2018년 중견연구자지원사업] ∙ 윤성민 (2021). 위계적선형모형(HLM)을 적용한 아버지역할 증진을 위한 웹기반 아버지교육프로그램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특성 변인 탐색-증진을 위한 증거기반실무를 중심으로- Korea Journal of Family Welfare. 한국가족복지학. Vol. 26, No.1 : 203-227 March 2021. 이 논문은 한국연구재단 지원과제의 연구결과물입니다. [2018년 중견연구자지원사업] ∙ 장희란, 윤성민 (2022). 직장인의 내현적 자기애와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분노반추의 순차매개효과. 인문사회21,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(HSS21). 2022. Vol. 13, No. 1, 189 – 202. ∙ 황미송, 윤성민 (2022). 어머니의 자기 지향 완벽주의와 양육불안의 관계에서그릿(Grit)의 매개효과. 인문사회21,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(HSS21). 2022. Vol. 13, No. 1, 505 – 516. ∙ 이성애, 윤성민 (2022). 성인애착이 분노억제에 미치는 영향: 내면화된 수치심을 통한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. 한국심리학회지: 건강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. 2022. Vol. 27, No. 3, 471 – 493. ∙ 전소현, 윤성민 (2022).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폭식행동의 관계에서 경험수용의 매개효과. 인문사회21,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(HSS21). 2022. Vol. 13, No. 6, 321 – 336. ∙ 정재우, 윤성민 (2023). 첫 출산 후 복직한 여성 사무종사자의 일·가정 양립 경험. 인문사회21,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(HSS21). 2023. Vol. 14, No. 1, 1859 – 1874. ∙ 이정옥, 윤성민 (2023). 성인의 정서지능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그릿과 진로준비행동의 이중매개효과. 인문사회21,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(HSS21). 2023. Vol. 14, No. 2, 1043 – 1056. ∙ 유애리, 윤성민 (2023). 영유아기 발달장애 아동의 수면 문제가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: 양육 스트레스 매개효과. 발달장애연구,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n Developmental Disabilities (KADD). 2023. Vol. 27, No. 2, 161 – 179. ∙ 김정현, 윤성민 (2024). 아버지의 자아존중감이 자녀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: 아버지-자녀 의사소통 및 자녀의 자아존중감의 순차 매개효과.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.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-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. 25, No. 1 pp. 184-192, 2024. ∙ 이현정, 윤성민 (2024). 아동기 학대 경험이 신체화에 미치는 영향: 정서인식명확성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.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. Journal of Learner-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. 24, No. 4, 2024, pp. 57-71. ∙ 김윤화, 윤성민 (2024).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와 폭식행동의 관계에서의 신체불만족 및 신체자비의 순차 매개효과.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. Journal of Korea Academia-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(JKAIS). 2024, vol.25, no.5, pp. 373-379. ∙ 김태현, 윤성민 (2024). 중년 여성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만성 통증에 미치는 영향: 정서표현에 대한 양가성과 우울의 이중매개 효과.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. Journal of Learner-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. 24, No. 11, 2024, pp. 327-336. ∙ 나혜성, 윤성민 (2024). 중년 남성 직장인의 경력정체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: 자기효능감과 삶의 의미의 이중매개 효과.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. Journal of Learner-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. 24, No. 12, 2024, pp. 205-217.
    • 박원주 교수 사진

      박원주 교수

      연락처
      02-2290-0364
      이메일
      parkwj@hycu.ac.kr
    • 경력 및 학력사항

      • ∙ 연세대학교 생물학과 학사 ∙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석사 (상담심리) ∙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박사 (상담심리) ∙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박사 (철학박사) ∙ 상담심리사 1급 (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상담심리학회) ∙ (전) 한국교원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전임상담원 ∙ (전) 서울정신과 부설 상담센터 심리상담사 ∙ (전) 국립 한밭대학교 교양학부 심리학 강의전담교수 및 상담교수 ∙ (전) Georgia State University Counseling and Psychological Services department 방문 연구원 ∙ (전) 한양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학과 학과장 ∙ (현) 한양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전임교수 ∙ (현) 한양사이버대학교 상담및임상심리 전공주임 교수 ∙ 담당교과목(학부): 상담사례연구, 진로및직업상담, 집단상담, 학교상담 ∙ 담당교과목(대학원): 집단상담및치료, 정신역동치료세미나

      전공분야 및 실적

      • ■ 관심분야 ∙ 정신역동치료, 대상관계이론, 애착심리치료 ∙ 정서조절, 애착, 정신화, 공감, 눈치 ■ 저역서 ∙ 사례로 배우는 심리상담의 실제 (공저. 학지사) ∙ 이론으로 배우는 심리상담의 실제 : 대표이론과 최근 동향(공저. 학지사. in press) ■ 논문 ∙ 심현정, 박원주(2024). 상담자의 불안정 성인 애착과 역전이 관리능력의 관계에서 마음챙김, 정신화의 순차적 매개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, 25(5), 542-551. ∙ 홍혜림, 박원주(2024). 핵심신념붕괴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: 자기노출, 침습적 반추, 의도적 반추의 매개효과.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. 25(4). 86-97. ∙ 차주희, 박원주(2023).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: 자기은폐와 정서표현양가성의 순차 매개효과.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. 24(12). 234-243 ∙ 김수연, 박원주(2023). 자기자비가 타인자비에 미치는 영향: 정서인식명확성과 공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. 인문사회21. 14(2). 2882-2896. ∙ 성정옥, 박원주(2023). 자기자비가 타인자비에 미치는 영향: 정서인식명확성과 공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. 인문사회21. 14(2). 2599-2614. ∙ 박원주(2022). 아동기 학대경험, 자기비난 및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공감경험의 조절된 매개효과.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, 23(8). 420-430. ∙ 나혜경, 박원주(2022). 완벽주의와 SNS중독의 관계: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경험회피의 이중매개 효과. 인문사회21. 13(5). 177-192. ∙ 박기량, 박원주(2022). 남성 동성애자의 불안정 성인애착이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: 소수자 스트레스의 매개효과.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, 23(10). 48-58. ∙ Y. J. Kim & W.J. Park(2020). Protean career orientation and career related continuous learning among online university students in South Korea. AHRD Academy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. RD International Research Conference in the Americas, Atlanta, Georgia. 외 다수.
    • 신경민 교수 사진

      신경민 교수

      연락처
      02-2290-0384
      이메일
      kmshin@hycu.ac.kr
    • 경력 및 학력사항

      • ∙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학사 ∙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석사 (임상/상담심리학 전공) ∙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박사 (이학 전공) ∙ 임상심리전문가 (한국임상심리학회) ∙ 정신보건임상심리사1급 (보건복지부) ∙ (전)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임상심리레지던트 ∙ (전) 아주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임상심리레지던트 ∙ (전)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임상강사 ∙ (전) 경기남부해바라기센터(거점) 심리지원팀장 ∙ (전) 한양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학과장, 대학원 주임교수 ∙ (전) University of Texas at Dallas, Visiting Scholar ∙ (현) 한양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전임교수 ∙ (현) 한양사이버대학교 상담및임상심리 전임교수 ∙ 담당과목(학부): 아동발달과병리, 동기및정서심리학, 아동심리치료, 인지신경심리학 ∙ 담당과목(대학원): 발달정신병리학, 아동심리치료세미나

      전공분야 및 실적

      • ■ 관심분야 ∙ 트라우마 /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(PTSD) ∙ 아동·청소년 심리장애 / 심리치료 ∙ 발달정신병리 ∙ 심리평가 / 신경심리검사 ■ 저역서 ∙ 신경민 역 (2024). 아동기 불안과 강박장애에서 벗어나기. 학지사 ■ 논문(selected article) ∙ 엄은미, 신경민 (2024). 부모의 과보호와 초기 청소년기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개념 명확성 및 자아존중감의 이중매개효과. 한국심리학회지: 건강, 29(1), 109-126. ∙ 백인혁, 신경민 (2023). 초기부모애착이 성인기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: 자기정서인식과 정서조절의 순차적 매개효과. 한국심리학회지: 발달, 36(4), 25-44 ∙ Joh, E., Shin, K. M., Kim K., Kim, J. I., & Kim, S. (2023). Sexual behaviours of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South Korea: A qualitative study exploring the views and experiences of professionals. Journal of Intellectual & Developmental Disability, 48(2), 184-195. ∙ Lim, G. W., & Shin, K. M. (2022). The influence of parental eating behaviors, child-feeding practices, and infants’ temperaments upon infants’ eating behaviors.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, 65(9), 466-468. ∙ 이혜원, 신경민 (2021). 상호작용적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청소년의 정서지능 및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. 독서치료연구, 13(2), 159-182. ∙ Shin, K. M., Kim, Y., Chung, Y., & Chang H. Y. (2020). Assault-related factors and trauma-related cognitions associated with post-traumatic stress symptoms in high-distress and low-distress Korean female victims of sexual assault.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, 35(19): e144. ∙ Shin, K. M., Chung, Y. J., Kim, N. H., Kim, K. A., & Chang H. Y. (2020). Factor structure and reliability of the posttraumatic cognitions inventory in Korean female victims of sexual violence.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, 35: 2254-2270. ∙ Shin, K. M. (2018). Evidence-based treatments for depress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.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, 37(4), 595-604. ∙ Lee, H. B., Shin, K. M., Chung Y. K., Kim, N., Shin, Y. J., Chung, U., Bae, S. M., Hong, M., & Chang H. Y. (2018). Validation of the child post-traumatic cognitions inventory in Korean survivors of sexual violence.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and Mental Health, 12(32). ∙ Shin, K. M., Chung Y. K., Shin, Y. J., Kim, M., Kim, N. H., Kim, K. A., Lee, H., & Chang H. Y. (2017). Post-traumatic cognition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a history of sexual abuse and the post-traumatic stress symptoms in sexual assault victims.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, 32: 1680-1686. ∙ Shin, K. M., Cho, S-M Shin, Y. M., & Park, K. S. (2016). Effects of early childhood peer relationships on adolescent mental health: a 6- to 8-year follow-up study in south Korea. Psychiatry Investigation, 13(4): 383-388. ∙ Shin, K. M., Chang, H. Y., Cho, S-M., Kim, N. H., Kim, K. A., & Chung, Y. K. (2015). Avoidance symptoms and delayed verbal memory are associated with post-traumatic stress symptoms in female victims of sexual violence.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, 184: 145-148. ∙ Shin, K. M., Cho, S-M. & Kim, K-H. (2015). A validation study of the Korean-ruminative response scale in Korean adolescents. Psychiatry Investigation, 12(4): 508-515. ∙ Shin, K. M., Cho, S-M., Hong, C. H., Park, K. S., Shin, Y. M., Lim, K. Y., & Koh, S. H. (2013). Suicide among the elderly and associated factors in south Korea. Aging & Mental Health, 17(1): 109-114.
    • 이자영 교수 사진

      이자영 교수

      연락처
      02-2290-0341
      이메일
      1170003@hycu.ac.kr
    • 경력 및 학력사항

      • ∙ 한양대학교 교육학과 학사 ∙ 한양대학교 교육학과 석사(상담심리전공) ∙ 고려대학교 교육학과 박사 (상담심리전공) ∙ 상담심리전문가(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상담심리학회) ∙ (전) 한양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 임상수련 ∙ (전)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선임상담원 ∙ (전) 고려대학교 두뇌동기연구소 연구교수 ∙ (전) 서울사이버대학교 군경상담학과 전임교수 ∙ (전) 한국상담심리학회 자격검정위원장 ∙ (전) 한양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학과 학과장, 대학원 주임교수 ∙ (현)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컨설팅 위원 ∙ (현) 소년 성폭력사범 심리치료 프로그램 개발 자문위원 ∙ (현) 대한군상담학회 편집위원장 ∙ (현) 한양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전임교수 ∙ (현) 한양사이버대학교 상담및임상심리 전임교수 담당교과목(학부) : 위기관리상담, 학교폭력상담이론과 실제, 중독의 이해와 상담 담당교과목(대학원) : 청소년상담, 상담사례연구

      전공분야 및 실적

      • ■ 관심분야 ∙ 청소년상담, 소진, 상담효과, 수퍼비전 ■ 저역서 ∙ 다문화청소년 상담이론과 실제, 공동체. (공저).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선정. ∙ 청소년 자해상담 : 이론과 실제, 학지사. (공저) ∙ 청소년 문제와 보호, 학지사. (공저) ∙ 진로교육학개론, 교육과학사. (공저) ∙ 은둔청소년지원방안.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. (공저) ■ 논문 ∙ 황성경, 이자영. (2024). 상담자의 대리외상과 외상 후 성장간의 관계: 마음챙김과 그릿의 다중 매개효과. 한국과 국제사회, 8(3), 593-621. ∙ 한숙인, & 이자영. (2023). 구매 경로 차이에 따른 사회 비교 경향성과 자기 과시 성향이 강박 구매에 미치는 영향. 인문사회 21, 14(3), 4251-4265. ∙ 최미량, 이자영. (2023). 내면화된 수치심, 고통감내력이 비자살적 자해에 미치는 영향: 회피-분산 정서조절양식의 조절된 매개효과. 교육치료연구, 15(3), 327-346. ∙ 김신아, 이자영. (2022). 청소년의 코로나 19 스트레스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. 청소년복지연구, 24(2), 97-118. ∙ 최유리, 이자영(2022). 직장 내 괴롭힘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: 자기자비와 역기능적 분노표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. 한국심리학회지: 건강, 26(5), 901-921. ∙ 우옥수, 이자영. (2020). 자기초점적 주의와 대인관계 유능성과의 관계: 자기자비와 인지적 공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. 한국심리학회지: 상담 및 심리치료, 32(2), 753-772. ∙ Cho, S.H., Lee, Lee, J. et al.(2020). Examining the job demands-resources model in a sample of Korean correctional officers. Current Psychology, 39, 1521-1534.
    • 우성범 교수 사진

      우성범 교수

      연락처
      02-2290-0366
      이메일
      wsungbum@gmail.com
    • 경력 및 학력사항

      • ∙ 서강대학교 경제학 심리학 학사 ∙ 고려대학교 심리학 석사(임상 및 상담심리학) ∙ 고려대학교 심리학 박사(임상 및 상담심리학) ∙ 한국상담심리학회 상담심리사 1급 ∙ (전)고려대학교 학생상담센터 상담원 ∙ (전)숙명여자대학교 초빙대우교수 ∙ (전)가천대학교 연구교수 ∙ (전)인간성장연구소 수석연구원 ∙ (현)한양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전임교수 ∙ (현) 한양사이버대학교 상담및임상심리 전임교수 담당교과목(학부): 건강심리학, 심리통계, 정서중심치료 담당교과목(대학원): 연구방법이론, 다변량분석

      전공분야 및 실적

      • ■ 관심분야 ∙ 대인관계, 정서 조절, 심리적 적응, 자기애, 남성 우울증, 음란물 사용, 성적 대상화, 자해 및 자살 예방 ■ 논문 ∙ 천영미, 우성범, 강총명, 양은주(2009), 아동의 대인관계 군집유형과 부모 요인 간 관계 연구, 한국심리학회지 : 학교, 6, 103-122 ∙ 우성범, 정미나. 성낙윤, 강총명, 양은주(2009), 내면화된 수치심, 자기애, 책임귀인이 연애관계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분석, 한국심리학회지: 상담 및 심리치료, 21, 879-895 ∙ 우성범, 남숙경, 이승민, 양은주(2012), 이차원적 자기애적 성향과 연애관계 양상의 관계: 투자모형을 중심으로. 한국심리학회지: 사회 및 성격, 26. 87-101 ∙ 우성범, 김성연, 임승우, 백인규, 남덕현, 양은주(2012), 남녀청소년의 자존감, 친구애착, 비행의 관계 다변량 잠재성장모형 분석: 한국심리학회지: 사회 및 성격, 26. 87-101 ∙ 우성범, 양은주, 권정혜(2013),청소년의 온라인 관계유지행동이 정신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에서 오프라인 관계유지행동의 조절효과: 청소년상담연구, 21(1), 1-15 ∙ 권정혜, 육설아, 우성범, 조현(2013), 오프라인과 온라인 대인관계가 사회자본형성과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, SNS 사용자를 중심으로: 사이버커뮤니케이션,30(2), 1-28 ∙ 우성범, 양은주(2014). 한국판 남성우울척도(Korea Masculine Depression Scale) 타당화 연구, 한국인간발달학회, 21(1), I21(2),115-132 ∙ 이서현,우성범,권정혜,양은주(2014) 애착유형과 친밀감의 관계에서 온라인 공간의 반응성 경험의 매개효과, 한국심리학회지: 학교, 11(1), 275-290. ∙ 우성범, 권정혜, 양은주(2014). 온라인 공간의 친밀감 형성: 자기개방과 반응성 친밀감을 중심으로, 한국심리학회지: 사회 및 성격 28(3),111-125 ∙ 구훈정, 우성범, 이종선(2015). 외상적사건과 자해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조절의 매개효과와 적응적 인지조절의 조절효과: 성차를 중심으로, 한국심리학회지: 임상 34(1), 173-199. ∙ 김두진, 이원재, 최광일, 우성범, & 송양민. (2015). 경기도내 병원에 종사하는 임상병리사의 표준주의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: 건강신념모델을 중심으로.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지, 16(3), 91-102. ∙ 김소정, 우성범, 구훈정, & 이종선. (2019). 한국판 자해 척도 (K-SHI) 타당화 연구. 인지행동치료, 19(2), 205-228. ∙ 우성범(2019). 한국 남성의 남자다움은 무엇인가?: 남성성에 대한 개념도 연구, 한국심리학회지: 문화 및 사회문제/25(3), 203-229,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∙ 우성범, 이영선(2020)부부의 음주와 부부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부부 폭력의 매개 효과: 자기-상대방 상호의존 모형(APIM) 분석,대한가정학회, 58(1), 75-86. ∙ 우성범(2021). 정서 처리의 인지 평가모델을 기반으로 한 정서 억제의 차원성과 심리 사회적 적응, 한국심리학지: 문화 및 사회문제, 27(4), 475~503. ∙ 김가원, 우성범, 김소정(2022).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-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 Dysregulation and Non-suicidal Self-injury: A Preliminary Study, Journal of Social Sciences, 61(1), 111-135. ∙ 장재현, 우성범. (2023). 전투에서 정신적 강인함에 대한 개념도 연구. 정신전력연구, 75, 237-260. ∙ 우성범. (2023). 성인 남성의 문제성 음란물 사용이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영향 성적대상화 가해와 양가적 성차별주의의 조절된 매개효과. 상담심리교육복지, 10(6), 77-93. ∙ 우성범. (2023). 한국판 성적 대상화-가해 척도(Interpersonal Sexual Objectification Scale—Perpetration Version) 타당화 연구.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, 23(2), 574-585. ∙ 우성범. (2024). 한국판 문제성 음란물 사용 (Korean Problematic Pornography Use) 척도의 타당화. 한국심리학회지: 상담 및 심리치료, 36(2), 439-462. ∙ Park, K., Woo, S., Park, K., Kyea, J., & Yang, E. (2016). The Mediation Effects of Career Explor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it Anxiety and Career Indecision. Journal of Career Development, 1-13. ∙ Koo, H. J., Woo, S., Yang, E., & Kwon, J. H. (2015). The double meaning of online social space: Three-way interactions among social anxiety, online social behavior, and offline social behavior. Cyberpsychology, Behavior, and Social Networking, 18(9), 514-520. ∙ Sohn, Y, Woo, S, Jo, D & Yang, E (2018). The Role of the Quality of College-Based Relationship on Social Media in College-to-Work Transition of Korean College Students: The Longitudinal Examination of Intimacy on Social Media, Social Capital, and Loneliness: Role of intimacy on social media in college-to-work transition. Japanese Psychological Research. 10.1111/jpr.12234. ∙ Jo, D., Woo, S., & Yang, E. (2023). Role of family acculturation stress in career development among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. Journal of Career Development, 50(4), 901-916. ∙ Kim, K., Woo, S., Kim, S. H., Roh, S., & Kim, S. (2024). The prediction model of non-suicidal self-injury in psychiatric patients using decision tree analysis. Yonsei medical journal, 65(3), 137. ∙ Kim, S., Woo, S., & Lee, J. S. (2023). Investigation of the subtypes of nonsuicidal self-injury based on the forms of self-harm behavior: examining validity and utility via latent class analysis and ecological momentary assessment.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, 38(17). ∙ Jo, D., Im, S., Kim, N., Kim, M., Cho, H., & Woo, S. (2024). Exploring the Role of Moral Injury and Meaning Pursui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bat Experience and Well-Being Among Active-Duty Military Members in the United States. International Journal for the Advancement of Counselling, 1-19. ∙ Jin, Y., Woo, S., Kim, K., Kim, S. H., Roh, S., & Kim, S. (2024). The Effect of Anxiety Sensitivity on Repeated Suicide Attempts: The Serial Mediation Effects of Rumination and Hopelessness an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Gender. International Journal of Cognitive Therapy, 1-20. ∙ Kim, K., Woo, S., Kim, S. H., Roh, S., & Kim, S. (2024). The prediction model of non-suicidal self-injury in psychiatric patients using decision tree analysis. Yonsei medical journal, 65(3), 137.